본문 바로가기
질병

농피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관리

by 강아지질병지킴이 2023. 7. 6.
반응형

반려견의 농피증은 피부 세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화농성 피부 질환으로 반려견들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는 피부 질환입니다. 농피증의 종류는 피부층의 감염 상태에 따라 표면성 농피증, 표재성 농피증, 심재성 농피증 3가지로 나뉘며, 신체 어느 부위라도 감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런 농피증은 여드름과 같이 작고 붉은 종기의 형태로 나타나며 농포, 가려움증, 탈모가 동반됩니다.

반려견의 농피증

1. 농피증의 원인

1) 세균 증식: 외부에서 침투하는 세균을 방어하는 역할을 하는 포도상구균(葡萄狀球菌, Staphylococcus) 즉, 상재균이 면역력이 떨어지며 상처로 들어가면 감염을 일으킵니다.

2) 기본적인 피부소양: 알레르기, 호르몬 불균형, 지루성 피부염 등 기본적인 피부소양을 가진 경우, 피부 장벽 기능이 약화되고, 세균 증식이 용이한 상태가 되며 농피증에 더 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3) 외상, 피부손상: 긁힘, 외상성 상처, 알레르기 등의 손상이 있으면 세균의 침투가 용이해지면서 농피증으로 발전합니다.

4) 면역력 결핍: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만성질환 또는 특정 약물에 인해 발생할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면역력은 세균의 침투를 억제하고 방어하는데 이런 면역력이 약해지면 세균의 과잉증식의 원인이 됩니다.

2. 농피증의 증상

농피증의 증상은 감염의 중증도와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 발적과 염증: 빨갛게 붓고, 농이 차며 농포가 생깁니다.

2) 가려움증으로 인한 긁기: 환부의 가려움증으로 과하게 긁거나 핥거나 씹습니다.

3) 농포와 뾰루지: 여드름과 같은 뾰루지가 있는 것은 농피증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4) 탈모: 붉고 작게 농이 찬 농포 주변의 피부가 약해지면서 둥글게 탈보가 나타납니다.

5) 악취: 환부의 세균의 과잉 증식과 손상으로 악취가 납니다.

3. 농피증의 진단

1) 신체검사: 피부에 염증, 병변, 농포와 또 다른 이상 증상이 없는지 전반적인 신체검사를 합니다.

2) 현미경 검사: 피부 세균, 효모 또는 진드기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3) 세균 배양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감염을 일으키는 특정 세균을 파악하기 위해 세균 배양검사를 진행합니다. 또,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효과적인 항생제 치료를 결정합니다.

4) 알레르기 검사: 알레르기로 인한 농피증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염증을 일으키는 알레르겐(allergen: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파악하기 위해 알레르기 검사를 권장할 수 있습니다.

4. 농피증의 치료

농피증의 치료는 감염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과 그에 대한 대처, 세균 감염 억제입니다. 구체적인 치료는 질병의 중증도와 유형 및 그 외 각각의 조건에 따라 다릅니다.

1) 항생제: 세균 감염을 억제하는 항생제 처방이 가장 일반적인 치료입니다. 항생제의 종류와 치료 기간은 항생제의 효과에 따라 달라집니다.

2) 국소적인 치료: 경구 투여되는 항생제 외에, 피부 표면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고, 증상을 완화를 위한 약용 샴푸나 연고 등 국소 치료가 권장되기도 합니다.

3) 기본적인 해결: 피요더마에 기여하는 모든 기초 상태를 치료하는 것은 장기적인 관리에서 중요하다. 여기에는 알레르기 관리, 호르몬 요법 또는 다른 표적 치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4) 환부를 긁거나 핥지 않도록 넥카라를 이용하여 세균증식, 감염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5. 농피증의 관리

농피증은 재발이 쉽고 완전한 예방은 어렵지만, 질병의 상태를 중증도를 최소화하는 등 관리가 가능한 질병입니다.

1) 위생관리: 빗질하기, 반려견용 샴푸로 목욕하기 등의 피부 위생과 관리는 오염이나 세균으로 인한 자극 물질의 축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알레르기 관리: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은 재발성 농피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피부 외상 방지: 피부 외상을 줄 수 있는 거친 놀이를 피하거나, 야외 활동 중 적절한 보호구를 사용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은 세균침투를 막고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균형 잡힌 식단과 운동: 균형 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은 농피증의 예방과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면역력을 향상하며 전반적인 건강에 큰 도움이 됩니다.

6. 결론

반려견의 농피증은 피부 세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화농성 피부 질환으로 반려견들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는 피부 질환입니다. 신체 어느 부위라도 감염이 일어날 수 있고, 여드름과 같은 작고 붉은 종기의 형태로 나타나며 농포, 가려움증, 탈모가 동반됩니다. 이런 농피증은 기본적인 신체검사, 현미경 검사를 통해서 진단되며, 세균 배양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알레르기 검사 등의 검사를 통해서 향후 질병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추가 검사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농피증은 재발이 쉽고 완전한 예방은 어렵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은 아니므로 보호자의 작은 노력을 통해서도 충분히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빗질하기, 반려견용 약용 샴푸로 목욕하기,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파악하기, 외상으로 인한 감염 최소화 하기, 식단관리, 규칙 적인 운동하기 등이 있습니다. 이런 작은 노력들이 질병을 예방하고 반려견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