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반려견의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 topenia syndrome, SFTS)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관리

by 강아지질병지킴이 2023. 7. 10.
반응형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 진드기 매개성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이 SFTS는 살인 진드기 감염병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주로 야외활동 중 SFTS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작은 소 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에 의해 감염됩니다. 이 진드기에 감염되면, 고열, 식욕저하, 심각한 혈소판 감소증의 증상이 나타나며, 또 혈액이나 체액을 통하여도 감염되며, 인수공통 감염병이라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반려견의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 topenia syndrome, SFTS)

1.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원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중국에서 보고된 진드기 매개성 감염 질환입니다. SFTS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작은 소 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에 의해 감염되며, 혈소판 감소증의 증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높은 치명률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백신과 치료제가 없고, 인수 공통 감염이 되므로 의심증상이 나타날 경우 조기 발견하여 신속한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2.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증상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임상 징후와 증상에 따라 중증도가 달라집니다.

1) 고열: 심한 고열이 오랫동안 지속됩니다.

2) 혈소판감소증: 혈소판 감소증의 증상을 보이며 출혈이나 타박상 증상 즉, 피부 또는 점막의 작은 빨강 또는 보라색 반점의 멍이 발견됩니다.

3) 식욕 부진과 무기력증

4)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소화기계 장애

5) 호흡 곤란: 심한 경우 불안정한 호흡 또는 호흡 곤란 증상이 나타납니다.

3.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진단

1) 신체검사: 신체검사를 통해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질병으로 인한 이상 증상을 확인합니다.

2) 혈액검사(CBC): 혈소판 감소 수치, 백혈구 수, 적혈구 수 등을 확인하고, 빈혈 등과 같은 추가적인 이상 증상을 확인합니다.

3) 혈청학적 검사: 혈액 속 SFTS에 대한 항체 검출을 위해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과 간접 면역 형광 항체법(immunofluorescence assay, IFA)의 검사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4)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RT-PCR) 검사: 분자진단검사방법으로 혈액 속 바이러스 유전자를 검출합니다.

4.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치료

현재 중증열성 혈소판감소증후군에 대한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임상 징후의 관리와 합병증 예방에 중점을 둔 치료가 진행됩니다.

1) 수액 : 부족한 수분 보충과 전해질의 균형 유지를 위해 처방됩니다.

2) 수혈: 심한 혈소판 감소증의 증상을 보이며 출혈이 있는 경우 혈소판 수치와 응고 기능을 회복을 위한 일환으로 수혈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3) 약물: 발열과 통증을 완화하고 구토와 설사를 억제하며, 이 질병과 관련된 추가 증상에 대처하기 위해 약물이 처방됩니다.

5.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관리와 예방

정확한 치료방법이 없는 이 질병은 진드기 감염과 노출을 최소화하는 예방적 노력이 중요합니다.

1) 진드기 예방: 진드기 기피제를 정기적으로 사용하고, 야외활동 후 진드기 체크를 철저히 하는 것은 진드기로 인한 감염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예방접종 : 현재로서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대한 백신은 없지만, 다른 감염병 예방을 위해 권장되는 예방접종을 꼭 받도록 하는 것이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면역력을 강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3) 야생동물과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을 피하기: 혈액과 체액을 통해서도 감염이 이루어지는 만큼 야생 동물이나, SFTS에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은 피합니다.

4) 환경관리 : 깨끗한 생활공간을 유지하는 것은 진드기에 대한 노출의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반려견의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 topenia syndrome, SFTS)

6. 결론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 진드기 매개성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반려견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로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임상 징후의 인식과 신속한 진단, 적극적인 치료적 케어, 그리고 예방이 필수인 질병입니다. 야외 활동 시 SFTS 진드기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 잔디, 수풀 산책 제한하기 등의 예방적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이 질병의 특징으로 사람에게서 동물, 동물에게서 사람으로의 감염이 되는 인수공통 감염질환인 만큼 반려견이 SFTS 양성으로 진단되면,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반려견이 머문 공간, 장난감, 배설물은 소독제를 사용하여 소독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명도가 높은 진드기 매개성 감염병에 대해서 정확히 파악하며, 임상 징후 알기, 주기적인 예방 접종과 진드기 주요 서식지 활동제한, 감염된 동물과의 노출 피하기 등으로 이 질병을 관리하면 보다 나은 반려견의 삶을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