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부 조직 육종(Soft Tissue Sarcoma)은 모든 견종과 모든 나이의 반려견에게서 발견되는 악성 종양입니다. 이 종양은 근육, 지방, 신경 및 결합 조직을 포함하는 간엽 조직에서 발생합니다. 연부조직육종은 섬유조직의 세포에 의해 국소적으로 침습하며, 전신으로 전이되고 재발률 또한 높은 것으로 알려진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질병입니다.
1. 연부조직육종의 원인
연부조직육종의 정확한 원인은 불분명합니다. 그러나 몇 가지 특정 요인은 종양의 발병에 대한 잠재적 위험 인자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1) 유전적인 요인: 복서(boxer), 골든 레트리버(Golden Retriever), 로트와일러(Rottweiler) 등의 견종에서 연부조직 육종 발생률이 높은 유전적인 요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방사선 노출: 과거 병력으로 인한 종양이나 기타 질병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방사선 치료 부위에서 연부조직육종의 발병 위험이 높을 수 있습니다.
3) 환경적인 요인: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이나 만성 염증 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연부조직육종 발생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연부조직육종의 증상
연부조직육종의 임상 징후는 종양의 위치, 크기 등에 따라 다릅니다.
1) 종기 형태의 덩어리: 연부 조직 육종은 피부 표면에서 단단한 비 통증 종기, 덩어리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종양의 단계와 종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2) 종기 형태의 덩어리의 성장속도: 종기 형태의 덩어리는 눈에 띄지 않게 천천히 커집니다.
3) 절뚝거림 또는 파행: 종양이 관절에 영향을 주는 경우 보행장애의 어려움을 느낍니다.
4) 통증: 경우에 따라, 종양이 신경과 가까운 곳이나, 뼈에 침습되는 경우 통증이나 불쾌감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5) 궤양과 출혈: 종양이 커지면서 궤양 되어 벌어진 상처에 출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연부조직육종에 주로 나타나는 증상들이며, 다른 유형의 종양이나 질병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인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3. 연부조직육종의 진단
연부조직육종 진단을 위해 신체검사, 영상촬영검사, 조직 검사가 진행됩니다.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이상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신체검사를 진행하고, 엑스레이 검사, 초음파검사, CT 촬영 등의 영상 진단 검사를 통해 종양의 상태를 평가하고, 이 종양이 림프절이나 장기로 전이됐는지의 여부를 판단합니다. 또 정확한 진단을 위해 생검을 통한 조직 샘플을 채취하여 종양의 정확한 상태를 검사합니다. 이런 검사들은 종양의 종류와 중증도를 결정하는 데 위함이며, 치료 계획과 방향성, 이 치료의 예후를 예측합니다.
4. 연부조직육종의 치료
연부조직육종에 대한 치료는 종양의 위치, 크기, 전반적인 건강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치료로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가 진행됩니다.
1) 수술: 연부조직육종의 1차 치료는 종양 제거 수술입니다. 재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술이 진행되며 경우에 따라서 종양 제거 후 신체 기능과 복원 수술 등의 재수술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2) 방사선 치료 : 수술 후 남은 종양제거나 종양 제거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완벽한 제거가 어려운 경우 방사선 치료가 진행됩니다. 암세포를 파괴하고 국소 재발의 위험을 줄입니다.
3) 항암치료: 항암치료는 연부조직육종의 주요 치료 방법은 아니지만 수술 전 종양을 축소하거나 수술 후 잔류 암을 치료하거나 전이를 예방하는 데 권장될 수 있습니다.
5. 연부조직육종의 예후와 관리
연부조직육종의 예후는 종양의 위치, 크기, 등급, 단계, 선택된 치료법의 효과를 포함한 몇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수술로 종양이 완전히 제거된 경우 긍정적인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부조직육종은 전이나 재발률이 높아 국소 재발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재발이나 전이 징후를 조기에 발견을 위해서 보호자의 면밀한 모니터링과 정기적인 추가검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방사선 치료이나 항암치료 등의 보조 치료는 성공적인 예후의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반려견 각각의 예후는 크게 다를 수 있음을 인식하고, 긍정적인 예후를 위해서는 질병의 조기 발견, 치료 이후에도 정기적으로 건강검진하기, 권장되는 치료플랜 준수하기가 매우 중요합니다.
6. 결론
연부 조직 육종(Soft Tissue Sarcoma)은 모든 견종과 모든 나이의 반려견에게서 발견되는 악성 종양입니다. 정확한 발병원인을 알 수 없는 이 질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증상을 인식하고 질병의 조기발견과 적극적인 치료가 반드시 요구되는 질병입니다. 이 종양은 근육, 지방, 신경 및 결합 조직을 포함하는 간엽 조직에서 발생하며, 섬유조직의 세포에 의해 국소적으로 침습하며, 전신으로 전이되고 재발률 또한 높은 것으로 알려진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질병입니다. 하지만, 수술로 종양제거가 성공하면 긍정적인 예후를 기대할 수 있고, 방사선 치료나 항암치료를 통해서 잔여 종양의 제거나 전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런 치료가 종양의 발전, 전이의 통제하기 어렵다면, 반려견의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렇듯 정기적인 후속 건강검진과 면밀한 모니터링을 통해 질병을 관리하여 재발 또는 전이를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속한 의료적 개입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서 연부조직육종이라는 악성종양을 진단을 받은 반려견의 질병의 예후를 개선하고, 질병으로 고통받지 않은 삶을 유지하도록 보호자의 섬세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의 홍반열균 리케차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관리 (0) | 2023.07.15 |
---|---|
반려견이 먹으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음식 알아보기 (1) | 2023.07.14 |
반려견의 아나플라스마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관리 (0) | 2023.07.11 |
반려견의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 topenia syndrome, SFTS)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관리 (0) | 2023.07.10 |
반려견의 비재생성 빈혈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관리 (0) | 202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