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행상피암종(Transitional Cell Carcinoma, TCC)은 방광종양, 방광암이라고 불리며, 요로계 내벽의 이행상피세포(Transitional epithelial cells)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신장, 방광, 요도, 폐 등으로의 전이가 빈번히 일어나는 질병의 중증도가 매우 높은 악성 종양입니다. 주로 고양이보다는 개에게 발병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수술로 제거하는 것 또한 불가능하기 때문에 암의 진행속도를 늦추는 것이 유일한 방법인 질병입니다. 이런 이행상피암종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발병할 수 있으며,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보다 나은 삶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1. 이행상피암종의 원인
이행상피암종은 이행상피세포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병하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1) 나이: 주로 10세 이상의 노령견인 경우 발병 위험도가 높습니다.
2) 유전적인 요인: 스코티시 테리어(Scottish terrier), 셰틀랜드 쉽독(Shetland Sheepdog), 웨스트 하이랜드 화이트 테리어(West Highland White Terrier)와 같은 견종에서 발병의 위험도가 높습니다.
3) 환경 요인: 살충제, 제초제와 같은 화학 물질, 간접흡연 등에 노출되면 발병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만성 염증: 장기간 지속된 감염이나 염증은 암세포의 발달, 암의 진행속도에 영향을 줍니다.
2. 이행상피암종의 증상
이행상피암종은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입니다.
1) 혈뇨(빈뇨) : 가장 흔한 증상으로 갈색소변, 혈뇨를 보게 됩니다.
2) 농뇨: 고름이 섞인 소변을 보게 됩니다.
3) 핍뇨: 자주 소변을 보게 되지만, 소변 양이 감소합니다.
4) 배뇨 시 통증: 종양으로 인해 소변의 정상적인 흐름에 어려움을 느끼며 배뇨 시 힘을 주거나 힘들어합니다.
5) 배뇨 실수: 방광 조절에 어려움을 겪으며 의도치 않게 배뇨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6) 질병을 원인으로 한 기타 증상: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불쾌감, 식욕 감소, 체중 감소의 징후를 나타냅니다.
3. 이행상피암종의 진단
1) 신체검사: 복부를 만져보고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전반적인 검사를 진행합니다.
2) 소변 검사: 소변검사를 통해서 혈액, 돌연변이 세포, 감염의 여부를 확인합니다.
3) 영상 촬영 검사: 흉부방사선검사, 정밀 초음파 검사 등의 검사를 통해서 종양이나 구조적 이상을 검사합니다.
4) 조직검사(생검): 정확한 진단을 위해 조직검사를 진행합니다.
4. 이행상피암종의 치료
이행상피암종은 질병의 중증도와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수술: 종양이 국소적이고,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되지 않은 경우, 또 방광삼각요관, 요도와 떨어져 있는 경우에만 수술이 가능합니다. 그 외 경우 수술이 불가능합니다.
2) 항암치료: 경구 항암제를 통해 암세포를 죽이거나, 성장 속도를 늦추기 위해 투여 됩니다.
3) 방사선 치료: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수술 후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사선 치료를 실시합니다.
4) 증상 완화 치료: 암이 상당 부분 진행되었거나, 완치를 목적으로 하는 치료 대상이 아닌 경우, 통증 완화와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두고 증상 완화 치료를 합니다.
5. 예후와 장기적인 관리
이행상피암종은 질병의 중증도, 종양 전이 정도, 치료 반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행히도 이행상피암종이 상당 부분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기 때문에, 완치를 목적으로 하는 치료보다는 장기적인 증상 완화를 중점으로 치료하는 것이 반려견을 위해 옳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보호자의 적극적인 치료 의지, 따뜻한 보살핌은 반려견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더 오래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6. 결론
이행상피암종(Transitional Cell Carcinoma, TCC)은 조기 발견과 신속한 진단과 보호자의 따뜻한 보살핌이 필요한 질병의 중증도가 매우 높은 질병입니다. 또, 개에게 발병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수술로 제거하는 것 또한 불가능 한 질병이기 때문에 암의 진행속도를 늦추는 것이 유일한 방법인 질병입니다. 이행상피암종의 발병 원인과 증상을 이해하고, 질병의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질병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발병될 수 있는 만큼, 발병될 확률이 높은 견종을 키우고 있다면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살충제, 제초제와 같은 화학 물질, 또는 간접흡연 등에 노출될 위험을 줄이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인식하고 혈뇨, 핍뇨, 농뇨 등의 의심 증상이 보일 경우, 반드시 병원에 내원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행상피암종은 상당 부분 암이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아 긍정적인 예후를 기대하기 어렵다면, 통증완화,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한 치료를 통해 반려견의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의 비만세포종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관리 (0) | 2023.06.23 |
---|---|
반려견 피부암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관리 (0) | 2023.06.22 |
비장종양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관리 (0) | 2023.06.20 |
반려견의 당뇨성 케톤산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관리 (0) | 2023.06.19 |
반려견의 당뇨병 원인과 증상, 치료와 관리 (0)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