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비강종양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관리

by 강아지질병지킴이 2023. 5. 31.
반응형

비강종양은 비강 내 세포가 이상 증식하며 발병됩니다. 이 종양은 상피세포, 신경세포, 섬유아세포(fibroblast) 등의 다양한 세포에서 발생합니다. 그중에서 상피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의 발생이 가장 많습니다. 비강종양은 반려견에게서 흔하게 발병되는 질병은 아니지만, 양성과 악성의 종류로 나뉘고, 이 중 악성인 경우가 많은 편입니다.

비강종양

1. 비강종양의 원인

현재 비강종양의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습니다.

1) 나이와 견종: 일반적으로 7세 이상의 노령견에서 발생합니다. 복서(Boxer), 콜리(Collie), 닥스훈트(Dachshund) 등과 같은 견종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2) 환경적 요인: 간접흡연, 대기오염, 화학물질 등의 발암물질이 잠재적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3) 유전적 요인: 특정 견종이 유전자 이상, 돌연변이의 유전적 요인으로 비강종양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4) 염증: 비강의 만성 염증이나 재발의 위험이 있는 질병의 감염은 종양세포로 발전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콧물과 코피가 반복되고 치주 질환이 자주 생긴다면 비강종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5) 방사선 치료: 치료의 목적으로 방사선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반려견의 경우 비강종양 발병의 원인일 수 있습니다.

*이 질병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비강종양의 정확한 원인은 아닙니다. 발병 원인은 모든 반려견마다 다릅니다. 비강종양의 긍정적인 예후를 위해 질병을 조기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의심 증후가 보인다면 정밀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비강종양의의 증상

1) 콧물, 코피: 가장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로, 혈액이 섞이거나, 화농성 콧물이 장기적으로 지속됩니다.

2) 코막힘: 코막힘으로 호흡 곤란증세를 보입니다.

3) 재채기: 재채기를 자주 하며 컥컥거리거나 컹컹거리는 등의 거친 호흡을 보일 수 있습니다.

4) 안면기형: 종양이 커지면서 코 부위가 부풀어 오르거나 얼굴 전체적으로 종양이 가득 차 안면기형, 안면 비대칭이 될 수 있습니다.

5) 일부 반려견의 경우, 비강종양에 따른 비강폐쇄로 목소리 변화가 변하거나 코를 고는 경우가 있습니다.

6) 신체적 변화: 식욕부진으로 체중이 감소되며 이것은 무기력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시력이 감퇴되거나, 눈동자의 초점이 없는 멍한 상태를 보일 수 있습니다.

3. 비강종양의 진단

1) 진단 검사: 비강의 상태와 안면이상(붓거나 변형됨), 콧물과 코피의 증상을 확인합니다.

2) 엑스레이 촬영: 종양의 크기, 위치, 진행상태와 종양으로 인한 뼈의 이상변화를 확인합니다.

3) CT 촬영: 엑스레이 촬영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종양의 크기, 위치, 진행상태를 확인합니다.

4) 비강내시경: 비강에 직접 내시경을 삽입해 종양을 확인합니다. 이때 골수 샘플을 채취합니다.

5) 골수검사: 종양의 종류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종양에서 조직 샘플을 채취하여 양성인지 악성인지를 판단합니다.

4. 비종양 치료와 관리

비강종양의 종류, 크기, 위치, 진행상태, 반려견의 건강상태 등에 따라 치료방법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수술: 질병 초기 단계에서 수술을 시행합니다. 하지만 종양의 위치가 민감하거나 위험할 경우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2)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는 종양이 완벽히 제거되지 않았거나,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종양의 크기를 줄이며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중점을 둔 치료입니다.

3) 동맥화학요법(intraarterial-chemotherapy): 종양으로 공급되는 동맥혈관에 항암제를 주입하면서 종양의 크기와 통증을 줄입니다. 수술이나, 방사선치료에 비해 합병증이 낮은 것이 장점입니다.

4) 보호자의 케어 :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다른 치료가 비 합리적일 경우, 보호자는 반려견의 증상을 관리하며 삶의 질을 향상하는 지원을 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5. 결론

비강종양은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질병으로 비강 내 이상세포가 증식하면서 발병하게 됩니다. 비강종양의 예후는 종양의 종류와 크기, 위치, 진행상태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달라집니다. 따라서 비강종양의 조기 발견은 이 질병의 예후에 많은 영향을 주지만, 일반적으로 종양이 다른 장기로 전이된 상태에서 발견하게 됩니다. 이 질병은 완치가 목표가 아닌 반려견의 삶을 향상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비강종양은 진단검사와 특수 촬영검사, 내시경 검사, 골수 검사로 진단하며, 수술, 방사선 치료, 동맥화학요법 등으로 치료를 합니다. 종양을 조기에 발견한 경우 수술이 가능하지만, 비강의 구조적 요인으로 완벽한 종양제거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종양이 완벽히 제거되지 않았거나 수술이 불가능할 경우 방사선 치료로 종양의 증식억제와 통증을 완화를 할 수 있으며, 종양으로 공급되는 동맥혈관에 항암제를 투여해 종양의 크기와 통증을 줄일 수 있는 동맥화학요법은 다른 치료에 비해 합병증의 위험도가 낮다는 것이 장점인 치료입니다. 반려견의 증상에 맞는 치료로 통증관리, 추가 감염을 예방해야 하며, 완치가 어려운 경우, 보호자의 꾸준한 관리, 충분한 수분섭취와 영양공급, 편안한 환경제공 등 보호자의 섬세한 보살핌과 사랑이 반려견의 삶을 향상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반응형